2025.04.05 (토)

기상청 제공
  • 맑음속초6.1℃
  • 흐림6.4℃
  • 흐림철원5.3℃
  • 흐림동두천8.0℃
  • 흐림파주6.0℃
  • 맑음대관령1.7℃
  • 흐림춘천6.7℃
  • 비백령도6.6℃
  • 맑음북강릉7.4℃
  • 맑음강릉8.5℃
  • 맑음동해7.0℃
  • 흐림서울9.5℃
  • 흐림인천7.6℃
  • 구름조금원주7.6℃
  • 맑음울릉도8.2℃
  • 흐림수원7.4℃
  • 맑음영월5.2℃
  • 구름조금충주5.9℃
  • 구름많음서산6.8℃
  • 맑음울진6.4℃
  • 구름많음청주9.3℃
  • 구름많음대전8.9℃
  • 구름조금추풍령6.9℃
  • 구름조금안동8.8℃
  • 구름조금상주9.2℃
  • 구름조금포항10.4℃
  • 흐림군산6.9℃
  • 구름많음대구10.1℃
  • 흐림전주7.9℃
  • 구름많음울산9.5℃
  • 구름많음창원9.0℃
  • 흐림광주10.2℃
  • 흐림부산10.4℃
  • 구름많음통영8.9℃
  • 흐림목포9.2℃
  • 흐림여수9.4℃
  • 흐림흑산도8.5℃
  • 흐림완도9.6℃
  • 흐림고창7.2℃
  • 흐림순천6.2℃
  • 박무홍성(예)7.2℃
  • 구름많음8.8℃
  • 흐림제주10.4℃
  • 흐림고산11.3℃
  • 흐림성산10.0℃
  • 흐림서귀포11.4℃
  • 구름많음진주7.6℃
  • 흐림강화6.8℃
  • 구름많음양평8.2℃
  • 구름많음이천8.3℃
  • 구름조금인제5.0℃
  • 구름많음홍천6.5℃
  • 맑음태백1.8℃
  • 맑음정선군3.5℃
  • 맑음제천4.1℃
  • 구름많음보은5.9℃
  • 구름많음천안5.6℃
  • 흐림보령5.9℃
  • 흐림부여6.6℃
  • 구름많음금산6.8℃
  • 구름많음7.6℃
  • 흐림부안7.8℃
  • 흐림임실6.8℃
  • 흐림정읍6.9℃
  • 구름많음남원8.9℃
  • 흐림장수8.0℃
  • 흐림고창군8.8℃
  • 흐림영광군8.8℃
  • 구름많음김해시9.4℃
  • 흐림순창군9.9℃
  • 구름많음북창원10.3℃
  • 구름많음양산시6.9℃
  • 흐림보성군7.5℃
  • 흐림강진군9.5℃
  • 흐림장흥9.7℃
  • 흐림해남7.5℃
  • 흐림고흥7.3℃
  • 구름많음의령군7.7℃
  • 구름많음함양군5.9℃
  • 흐림광양시9.0℃
  • 흐림진도군9.0℃
  • 맑음봉화2.4℃
  • 구름조금영주6.1℃
  • 구름조금문경8.1℃
  • 구름조금청송군4.8℃
  • 구름조금영덕5.8℃
  • 구름조금의성5.0℃
  • 구름조금구미10.2℃
  • 구름조금영천5.8℃
  • 구름많음경주시6.3℃
  • 구름많음거창6.0℃
  • 구름많음합천10.1℃
  • 구름많음밀양6.9℃
  • 구름많음산청8.9℃
  • 구름많음거제8.5℃
  • 흐림남해9.4℃
  • 구름많음7.2℃
에너지관리 및 태양전지ㆍ탄소자원화 분야 신규과제 공모
  •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

건강과학

에너지관리 및 태양전지ㆍ탄소자원화 분야 신규과제 공모

에너지관리 및 태양전지ㆍ탄소자원화 분야 신규과제 공모

 

친환경 미래에너지 시대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 착수

- 과기정통부, 에너지관리 및 태양전지ㆍ탄소자원화 분야 신규과제 공모 –

 

과학기술정보통신부(장관 유영민, 이하 ‘과기정통부’)는 기후기술 혁신으로 미래의 에너지 생활변화를 선도해나가기 위해 3월 26일부터 30일간 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 등 기후분야 신규과제를 공모한다고 밝혔다.

 

ㅇ 이번 공고는 지능형 에너지 관리를 위한 개방형 플랫폼 기술과 도시형 차세대 태양전지 및 탄소자원화 분야를 대상으로 하며, ’19년 기준으로 총 76.5억원 규모이다. 

 

사 업 명
사업 및 과제 개요
’19 예산
연구기간
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
도시 생활구조물 활용을 위한 차세대 태양전지 원천기술 개발 (’19년 신규과제)
12.5억원
5년(3+2)
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
에너지클라우드를 위한 개방형 플랫폼 핵심 원천기술 개발 (’19년 신규사업) 
40억원
5년(2+3)
탄소자원화 기술고도화
(플라즈마 활용 탄소자원화)
플라즈마 활용 탄소자원화 기술개발 및 상용화 연계 플랜트 실증 (’19년 신규사업) 
24억원
3년(2+1)

 

□ 에너지클라우드란 기존 전력계통뿐만 아니라 태양전지, 풍력 등 분산에너지까지 모든 에너지원이 연결된 미래 에너지망으로, 신재생에너지 보급ㆍ확산 정책에 따라 점차 에너지클라우드 생태계가 활성화되고 복잡한 네트워크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. 

 

ㅇ 이에 대비하여, 과기정통부는 신재생 등 분산에너지원을 생산, 공급 및 소비, 거래하는 누구나 활용하여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신규 사업을 기획하였으며, 

ㅇ 개방형 플랫폼에 최적화하기 위한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의 분산자원 운영ㆍ관리 기술과 고신뢰성 보안 기술, 개방형 플랫폼을 운영ㆍ검증ㆍ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.

 

※ The Energy Cloud : Emerging Opportunities on the Decentralized Grid(2015, Navigant Research) 

 

□ 또한, 도시 생활구조물을 활용하여 공간적 한계성을 극복하고 태양에너지 활용을 다양화하기 위한태양전지 기술과 플라즈마*를 활용해 온실가스를 일산화탄소, 수소와 같은 유용가스로 전환 및 생산하는 ‘플라즈마 활용 탄소자원화’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. 

 

* 기체 상태 물질에 계속 열을 가해 양이온과 음이온의 총 전하수가 거의 같아진 상태를 플라즈마라 하며, 고체·액체·기체 상태가 아닌 제4의 물질 상태를 일컫는 용어

 

□ 과기정통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“기후변화로 인해 국민의 에너지 생활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, 이에 대비하여 과학기술이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”이라며,

 

ㅇ “위 사업들을 통해 깨끗하고 편리한 미래에너지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”고 밝혔다.

 

□ 사업공고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과기정통부(www.msit.go.kr)와 한국연구재단(www.nrf.re.kr) 홈페이지에 게시된 ‘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’ 및 ‘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’, ‘탄소자원화 기술고도화’ 사업 신규과제 공모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.

 


[자료제공 :icon_logo.gif(www.korea.kr)]

본 기사는 넷프로 인터넷뉴스 홈페이지의 데모기사 입니다.
등록된 기사는 테스트용이며 비회원이 복사한 자료일 수 도 있습니다.
출처 : 과학기술정보통신부



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